macOS에서 가장 마음에 들지 않는 앱이 윈도우의 탐색기, 우분투의 노틸러스 또는 네모격인 바로 Finder이다. 이건 뭐 사용자 커스텀마이징은 거의 불가하고 애플에서 약간 강제성을 띄는 앱처럼 느껴진 파일 관리자이다. 이건 정말 못쓸 것 같았지만, 한달 정도 사용해보니 불편하지만 하나씩 적응 중에 있다. 하지만 여전히 다른 앱이 있다면 설치하고 싶은 욕망은 있지만 어차피 애플에서 강제적으로 쓰도록 한다면 내가 적응하는 것이 앞으로도 정신 건강에 좋을 것 같아, 그냥저냥 쓰고 있다. 최근항목은 우분투를 사용할 때부터 절대 사용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문서 작업을 위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개인정보 관련 문서가 최근항목 탭에 남아 있는 것이 상당히 거슬렸기 때문에 최근항목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macOS에서 제공하는 기본 터미널 앱을 사용하기 보다는 iterm2 사용하는 것 같다. 그래서 iterm2 다운받아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macOS 패키지 매니저인 HomeBrew도 설치해야 하며, 패키지 매니저를 설치하면 CLI환경에서 brew 명령어를 사용하여 앱 또는 패키지 설치가 가능하다. %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HomeBrew를 설치하기 위해 Command Line for xcode가 함께 설치되며,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의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brew 실행 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 (echo; echo 'eval "$(/..
masOS Dock 설정은 특별한 설정없이 아이콘 크기, 애니메이션 효과 및 Dock 자동 숨김 등의 기본적인 설정이 가능하다. 시스템 설정 -> 데스크탑 및 Dock 설정 하거나, 아래 이미지와 같이 Dock 구분선에서 보조 클릭을 선택하면 설정으로 들어갈 수 있다. Dock에 아이콘을 많이 넣을 경우 기본 아이콘 사이즈는 큰 편이라 크기를 줄이고 커서 이동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는 것이 좀 더 이쁜 것 같아 확대 기능을 설정하고, Dock이 항상 보여질 경우 작업 환경이 줄어들기 때문에 자동 숨기기 기능을 활성화 하도록 한다. Dock에서 최근 사용한 앱과 제안하는 앱을 표시할 경우 실행되지 아이콘이 표시되므로 이것은 끄도록 한다. 스테이지 매니저는 데스크탑에 실행된 앱을 그대로 바탕화면에 있는..
맥북 사용자가 극찬한 트랙패드는 나에겐 상당히 불편했다. 그래서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했는데, 이번 추석 연휴동안 외부 디바이스 연결없이 무작정 그냥 쓰면서 익숙해지려고 이런 저런 설정을 하여 사용해보니, 사람들이 왜 극찬했는지 이제 알 것 같았다. ㅎ 트랙패드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시스템 설정 -> 트랙패드 설정에서 아래 이미지와 같이 변경하였다. 클릭을 가볍게 터치하여도 인식하도록 변경하고, 이동 속도도 중간보다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편한 것 같다. 자연스러운 스크롤은 비활성화 시키는 것이 기존 마우스 휠과 차이가 없어 더 편하게 느겼졌다. 그리고 추가 제스처를 확인해보니, 네 손가락으로 좌우로 스크롤하면 데스크탑 전환이 되며, 아래에서 위로 올리면 Mission Control이 실행되어 현재..
macOS의 기본 한영 전환키는 ⇪(caps lock)로 설정되어 있다. 맥북은 오른쪽 하단의 한영 전환키는 존재하지 않으며, 맥북의 전용 키인 ⌘(command), ⌥(alt)만 존재할 뿐이다. 수 십년간 오른쪽 하단의 한영키로 입력소스를 변경하였는데, 이것이 ⇪로 변경되니 적응이 안될 뿐만 아니라 대소문 전환키와 같이 사용하니 약간의 딜레이가 생기는 것도 은근히 신경쓰이게 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키맵핑인 karabiner를 설치하여 이 불편함을 해소 하고자 한다. karabiner는 내장 키보드와 외장 키보드 별로 각각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어 상당히 마음에 드는 앱이다. 블로그 포스팅을 하면서 적응하려고 했지만, 정말 한글 입력 전환을 할 때마다 이것부터 바로 수정해야겠다는 생각에 최우선적으..
masOS의 서체(폰트) 등록은 매우 간단하다. 다운받은 폰트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폰트 미리보기가 가능하며 바로 설치할 수 있다. 맑은고딕은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ttf 파일을 복사하여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d2coding 폰트는 GitHub에서 받아서 설치하면 된다. 빠른 맥북의 적응을 위해 맥북을 초기화 및 OS(Sonoma) 업데이트를 시키고 하나 하나 세팅하면서 블로그에 포스팅하면서 macOS에 익숙해지려고 하는데, macOS에 맑은고딕 폰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블로그 글의 가독성이 매우 떨어져 바로 폰트부터 설치한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신입으로 입사하여 강산이 변할정도로 오래 다녔던 첫 직장을 떠나, 새로운 도전을 위한 이직을 하였으나... 새로운 도전이 이렇게 빨리 올지는 몰랐다. 당연히 새롭게 시작한 일이라도 업종이 다르지만 큰 틀에서 펌웨어 개발이기 때문에 당연히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하겠거니 했는데, 개발 노트북으로 맥북프로를 줄 것이라고는 1%의 생각도 갖고 있지 않았다. 사내 보안 프로그램으로 인해 대부분 윈도우 노트북에 Virtualbox 또는 Docker를 사용하여 개발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 맥북을 제공할 줄은 꿈에도 몰랐다. 그래서 입사한 첫날부터 첫 사용하는 OS로 살짝 적잖은 당황을 하였고, 개발환경을 모두 macOS로 구성하여 펌웨어 파트 전원 맥북을 사용하는 것 보고 또 한번 놀랐다. ㅎㅎ;; 항상 macOS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