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사람들이 macOS에서 제공하는 기본 터미널 앱을 사용하기 보다는 iterm2 사용하는 것 같다. 그래서 iterm2 다운받아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macOS 패키지 매니저인 HomeBrew도 설치해야 하며, 패키지 매니저를 설치하면 CLI환경에서 brew 명령어를 사용하여 앱 또는 패키지 설치가 가능하다. %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HomeBrew를 설치하기 위해 Command Line for xcode가 함께 설치되며,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의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brew 실행 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 (echo; echo 'eval "$(/..
우분투 사용에 bash로도 충분하지만, zsh 사용하면 git 관리가 좀 더 편하고 유용하여 기본 쉘로 zsh를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 우분투 설치를 2년만에 하다보니, 예전에 설정했던 기억이 거의 없어지는 관계로 간단히 정리둔다. 우선 zsh 및 sytax-highlight를 apt로 설치하고, wget을 사용하여 oh-my-zsh를 설치하도록 한다. $ sudo apt install zsh zsh-syntax-highlighting $ sh -c "$(wget https://raw.github.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O -)" zsh과 oh-my-zsh를 설치하였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기본쉘을 zsh로 변경하도록 한다. $ chsh -s..
zsh shell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bash shell을 사용함에 큰 불편함이 없고 새로운 것을 익히는 것이 부담스러워 지금까지 우분투에서 bash를 사용했지만, git branch 관리함에 있어 zsh shell 가독성이 설치하였다. 우분투에서 zsh 설치는 기본 저장소에 있는 버전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으며, 보다 편한 zsh shell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oh my zsh 프레임워크를 함께 설치하도록 한다. $ sudo apt install zsh $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robbyrussell/oh-my-zsh/master/tools/install.sh)" 기본 Shell을 bash에서 zsh로 변경하기..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