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로지텍 M325 마우스를 10년째 만족하며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집에서 사용할 마우스도 로지텍 M585를 구입하였다. M325가 아닌 M585를 구입한 이유는 블루투스와 유니파잉 모드 지원하여 노트북과 데스크탑에서 함께 사용하려고 구입하였지만, 생각보다 크기가 커서 좀 당황했지만 그런대로 잘 사용하고 있다. M325의 '휠 좌우' 버튼으로 웹브라우징 할 때 기능은 '앞으로 가기', '뒤로 가기'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완전 소중한 기능이다. 이 기능 때문에 얼마나 편하게 웹브라우징을 하는지 써보지 않은 사람은 모를 것이다. 그런데 M585는 '앞으로 가기', '뒤로 가기' 기능이 '휠 좌우' 버튼이 아닌 다른 버튼으로 할당되어 있어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어 마우스 키맵핑을 변경하려고 한..
우분투에서 Ctrl + Q 조합의 키는 현재 활성화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축키이다. 그리고 Ctrl + W 조합의 키는 현재 프로그램의 활성화되어 있는 Tab을 종료하는 단축이다. 파이어폭스에서 여러개의 탭이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탭을 닫기 위해 Ctrl + W 입력하려다 실수로 Ctrl + Q를 입력하여 파이어폭스가 종료하는 경험이 꽤 있다. 파이어폭스 정도의 문제라면 크게 신경 안쓰겠지만, Visual Studio Code의 Ctrl + Shift + Q 조합의 단축키가 있는데, 입력 순서가 약간 틀리면 우분투가 Ctrl + Q로 인식하려 Visual Studio Code를 종료하는 일이 수시로 발생하여 Ctrl + Q 비활성 시키려고 GNOME keybinding을 검색하였으나 Ctrl + Q 단..
GNOME 설정은 GUI 도구인 dconf editor 또는 CLI 도구인 gsettings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정 값을 변경하거나 초기화 시킬 수 있다. GNOME 설정은 key-value 값으로 이루어지며 수많은 key-value가 존재하여 그때 그때 정리하려고 한다. 1. '디스크 공간 부족' 메시지 비활성 특정 파티션의 용량이 부족할 경우 GNOME3는 "디스크 공간 부족"이라는 메시지를 아래 이미지와 같이 알려준다. Vbox 가상 디스크 추가 등과 같이 디스크 공간 부족 상태를 이미 알고 있다면 이런 메시지 알림은 불필요하다. 디스크 공간 부족 알림을 비활성화 방법은 housekeeping active 속성 값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면 된다. $ gsettings set org.gnome.sett..
일반적으로 HDD 배드블럭 검사는 특정 섹터를 읽는 시간이 500ms 이상인 경우 bad block로 평가한다. HDD 배드블럭 검사는 전체 섹터를 검사하기 때문에 오랜 검사 시간을 요구한다. 우분투는 GUI가 아닌 CLI의 badblocks 명령어를 사용하여 HDD bad block 검사가 가능하다. badblocks는 rw 모드로 배드블럭을 확인 할 수 있다. w 모드를 사용할 때 데이터 유실될 수 있으니 옵션을 정확히 확인하여야 한다. -n HDD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로, 각 섹터에 대해 rw 실행하여 검사 -w 옵션과 동시 사용 불가 -w HDD 데이터 손실되며, 각 섹터에 임의의 데이터를 기록하며 검사 -s 검사 진행 상태를 출력 -v 배드블럭 검사 결과 출력 일반적으로 -sv 옵션을 사용하여 ..
원격 키보드 & 마우스 기능을 제공하는 수많은 스마트폰 앱이 존재하나 우분투 버전의 서버를 제공하는 앱은 거의 찾을 수 없다. 대부분의 앱의 PC 서버 프로그램은 윈도우와 맥OS만 지원하는 경향이 있다. 상대적으로 리눅스 사용자가 다른 OS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사용자 층이 적기 때문에 어쩔수 없다. 그런데, Remote Mouse 앱은 iOS 및 안드로이드 버전을 제공하며, 서버 프로그램도 모든 OS를 지원하고 있다. 즉 우분투에도 서버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Remote Mouse를 사용하여 iPhone과 iPad, Android를 무선 모바일 마우스/트랙패드/키보드로 전환하세요. 뉴스 & 팁 최신 기능에 대한 뉴스, 경험 향상을 위한 팁, 그리고 간혹 진행되는 개선 사항 및 새로운 기능에..
배터리 문제로 로지텍 k810 키보드는 지금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나중에 다시 사용할 때 참고하고자 블로그에 정리한다. 참고로 이글을 작성할 당시 테스트 환경은 우분투 16.04 버전까지 확인하였고, 우분투 18.04 이상 버전에서 정상 동작 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로지텍 k810 키보드는 F1~F12 기능을 사용하려면, FN 키와 함께 입력을 해야 한다. 기본값이 F1 ~ F12 key 입력이 아닌 function key로 할당되어 있다. 윈도우와 맥OS 환경에서는 SetPoin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쉽게 변경이 가능하나 우분투 버전의 SetPoint는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을 해야 한다. Logitech K810 Keyboard Configurator | trial-n-error Rec..
MIPS 계열 또는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개발을 한다면 Host PC 플랫폼과 상관없이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 대부분 32bit 라이브러리 기반으로 개발을 한다. 즉, Host PC 플랫폼과 상관없이 개발 보드는 32bit 라이브러리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Host PC가 64bit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개발용 32bit 라이브러리가 함께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캐노니컬이 모든 32bit 개발 지원을 중단한다는 공지에 맹폭을 맞고 선택적으로 개발 지원을 유지하는 것으로 선회한 만큼 여전히 32bit 라이브러리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캐노니컬이 전체가 아닌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부 패키지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이 포스팅..
우분투는 커널 및 라이브러리 그리고 패키지 등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때에 따라 이런 업데이트 때문에 예상치 않는 개발 중인 모듈을 빌드할 때 에러가 발생하기도 한다. 예전에 작성 글인데, 우분투 16.04는 bison 3.x 버전이 설치되어 있고, 우분투 12.04는 bison 2.7 버전이 설치되어 있다. 우리가 개발중인 것은 bison 2.7 버전에서는 문제 없이 빌드가 되지만, bison 3.x에서는 빌드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2.7 버전으로 롤백하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bison 3.x 삭제한 후 PPA를 통하여 2.7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시키는 것이다. $ sudo apt autoremove bison $ sudo add-apt-repository ppa:salehi/bis..
dd 명령어를 사용하여 0xFF로 채워진 빈 데이터 블럭을 생성하려면 다음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dd if=/dev/zero ibs=64k count=16 | tr "\000" "\377" > empty_block.dat 위의 명령어는 64K 단위로 /dev/zero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읽어 16개의 블럭을 생성하는데, 이것을 tr 명령어로 8진수 0x00의 값을 0xFF로 변경한 데이터를 리다이렉션 시켜 empty_block.dat을 생성한다. 즉, 위의 명령어 실행으로 1MB 크기의 빈 블럭이 생성된다. dd 명령어를 사용하여 0xFF로 채워진 빈 데이터 블럭을 생성하려면 다음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dd if=/dev/zero ibs=64k count=16 | tr "\000" "..
브라우저 캐시 데이터를 SSD에 반복해서 쓰고 지우는 것은 SSD 좋지 않기 때문에, 캐시 데이터 크기 및 저장 위치를 램디스크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우선 램디스크를 생성해야 한다. 램디스크는 /etc/fstab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를 추가한다. tmpfs /var/ramdisk tmpfs defaults,noatime,size=2048M,mode=1777 0 1 램디스크는 크기를 2GB로 설정하였고, access time은 기록하지 않도록 설정한 것이다. /var/ramdisk 디렉토리는 SSD가 아닌 메모리에 할당된 램디스크에 생성된다. 여기에 브라우저 캐시 데이터가 저장할 것이다. 1. 파이어폭스 아래 이미지와 같이 파이어폭스 주소 영역에 about:config을 입력하면 파이어폭스 환경설정 메타데이..
우분투의 아카이브 매니저는 7zip과 RAR 압축 형식을 기본으로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관련 패키지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7zip과 RAR 압축 형식을 지원하기 위해 아래의 패키지를 설치하도록 한다. $ sudo apt install p7zip rar 위 패키지 설치로 아카이브 매니저는 7zip 및 RAR 형식의 압축 파일을 대한 해제가 가능하다. 윈도우에서 압축한 zip 파일 내에 파일이나 디렉토리 이름에 한글이 포함되어 있고, 이것을 우분투에서 압축 파일을 해제한다면 100% 한글이 깨지는 현상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한글 인코딩 방식을 UTF-8 방식을 채택한 우분투와 다르게 윈도우는 기존 제품의 하위 버전 호환성을 위해 고전적인 EUC-KR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이다. 우분..
우분투에서 시리얼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Minicom을 많이 사용하지만, 로그 및 디버그 메시지 등의 시리얼 출력 기능에만 충실한 시리얼 터미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면 아래 소스를 빌드하여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위 코드를 빌드하여 사용하려면 사용자 계정에 dialout 그룹 권한을 갖고 있어야 /dev/ttyXXX에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usermod 명령어로 사용자 계정에 dialout 권한을 할당해야 한다. $ sudo usermod -G dialout -a gon 아래와 같이 /etc/group 파일에서 dialout에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방법도 있다. dialout:x:20:gon 위 두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중요한 것은 위의 com.c 소스로 빌드한 ..
문서의 중요도에 따라 배포시 워터마크 포함시키거나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배포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문서가 외부에 유출되면 안되기 때문에 이중삼중으로 설정 하였겠지만, 매번 문서를 볼때마다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은 번거롭기 때문에 패스워드를 제거해서 따로 관리를 한다. 우분투는 설치시 QPDF 기본 App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따로 설치가 불필요하다. 사용방법은 매우 간단하며 아래 명령어를 참고하면 쉽게 PDF 설정된 패스워드를 제거할 수 있다. $ qpdf -password= -decrypt passwd_file.pdf remove_password_file.pdf QPDF는 윈도우 버전도 소스포지에서 제공하는 것 같으나, 바이너리 배포하는지 아니면 소스를 받아서 빌드해야 하는 확인이 필요하다. 가장 ..
samba는 이기종 시스템간 파일 공유를 위한 파일 시스템을 제공하며, 설치는 아래와 같다. $ sudo apt install samba samba-common cifs-utils 파일 공유 권한 및 공유 디렉토리 등의 samba 설정은 /etc/samba/smb.conf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아래의 설정은 logonDesk 파일시스템을 Anonymous 접근을 허용하며, RW 권한은 read-only로 설정한 것을 나타낸다. [logonDesk] path = /media/gon browsable = yes read only = yes guest ok = yes logonDesk 외부 접속시 표시되는 이름 path = /media/gon 공유 디렉토리 설정 외부 접근이 가능하기 위해 상위/하위 디렉토리..
openssl 지원하는 secure terminal과 secure ftp 설치는 아래와 같다. $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openssh-sftp-server 개인 PC에서 openssh-server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NAS 장비 없이 PC로 간단한 NAS를 구성하려면 sftp를 사용할 수 있다. openssh-sftp 설치는 매우 간단하며 어떤 설정 변경도 없이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에서 PC에 저장된 동영상을 스트리밍 할 수 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